다음 세대에 물려줄 아름다운 유산, 국립공원. 우리는 자연을 보전하여 건강하고 행복한 미래를 열어 갑니다.
Home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자원
자원보전
멸종위기종관리
멸종위기종관리

- 멸종위기종이란?
- 최근 기후변화와 같은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함께 밀렵, 벌목, 채취 등의 개발 및 훼손행위로 인해 멸종위기에 처하는 종들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국제적으로 국가 생물종 다양성의 유지 및 증진을 위한 관심과 지원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 생태계 복원의 목적
-
- 멸종위기 야생동ㆍ식물 증식ㆍ복원
- 생물종 다양성 제고
- 생태계의 조화와 균형
- 건강한 생태계 회복
- 멸종위기종 지정 및 분포
-
- 국립공원 내 지정및분포 현황
- 양서파충류 - I급 1종, II급 5종
- 어류 - I급 4종, II급 8종
- 곤충 - I급 6종, II급 18종
- 육상식물 - I급 7종, II급 45종
- 포유류 - I급 7종, II급 5종
- 조류 - I급 10종, II급 44종
- 기타(무척추동물 등) I급 2종, II급 13종
- 반달가슴곰
- 한반도 전역에 서식하던 반달가슴곰은 서식지 파괴, 보신문화, 밀렵 등으로 멸종위기에 처해 있으며 2004년 지리산국립공원에서 복원사업이 시작되었습니다.
- 산양
-
사람 접근이 험준한 바위절벽을 중심으로 살아가는 산양은 현재 800~920마리 정도가 설악산, 비무장지대 일대, 양구-화천, 울진-봉화-삼척지역 등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리적으로 격리되어 있는 산양은 서식지 단절, 자연재해, 밀렵, 질병, 근친교배 등으로 멸종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따라서 2006년부터 월악산에서 산양복원사업이 시작되었습니다.
- 여우
- 과거 한반도 전역에 분포했던 여우는 60년대 시행되었던 ‘쥐잡기운동’과 서식지의 감소로 개체수가 급감하여 현재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생물Ⅰ급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