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깃대종ㅇ
- 깃대종(Flagship Species)은 특정지역의 생태·지리·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는 상징적인 야생 동·식물로서 사람들이 보호해야 할 필요성을 인정하는 종입니다. 국립공원공단은 2007년부터 21개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총 39종의 야생동·식물을 깃대종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 깃대종 선정 절차
-
- 깃대종 선정위원회 구성
- 깃대종 후보군 선정
- 국민 참여절차(네티즌, 탐방객, 지역의견 설문) 시행
- 설문결과 토대 깃대종 선정
- 깃대종 선정 현황
-
- 식물 - 19종
- 포유류 - 7종
- 조류 - 6종
- 양서ㆍ파충류 - 3종
- 곤충류 - 1종
- 어류 - 2종
지리산국립공원
종명 | 반달가슴곰 (Ursus thibetanus ussuricus) |
---|---|
보호현황 | 멸종위기야생생물Ⅰ급, 천연기념물 제329호, 먹는 것이 금지되는 야생동물 |
개요 | ▪ 1950년대 이전에는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전국에 흔하게 서식하였으나 일제강점기에 해수구제 명목으로 1,076마리가 포획되었음 ▪ 1970년대까지 반달가슴곰 사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1980년대 후 보신풍조가 만연해 밀렵 으로 개체수가 급격하게 감소됨 ▪ 보호사업의 일환으로 2004년부터 국립공원공단에서 지리산 내 복원을 추진 중이며 현재 38마리가 지리산 내 서식 중임 |
형태/특징 | ▪ 체 장 : 약 130∼190㎝ ▪ 식 성 : 단단한 과일이나 과실, 도토리(잡식성) ▪ 서식지 : 높은 지대의 험하고 바위가 많은 산림, 먹이가 풍부한 활엽수림 ▪ 특 징 : 앞가슴에 V자 반달모양의 흰색 털이 있으며 발톱이 날카로워 나무나 바위 절벽을 오를 때 미끄러지지 않는 갈고리 구실을 함 |
현황사진 | ![]() ![]() ![]() |
종명 | 히어리 (Corylopsis coreana) |
---|---|
보호현황 |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
개요 | ▪ 우리나라에만 자생하는 고유종으로 생강나무와 함께 봄이 오고 있음을 가장 먼저 알려주는 나무로 유명함 ▪ 2005년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으로 지정되었으나 추가 자생지 발견 등으로 개체수가 늘어남에 따라 2012년 멸종위기 야생생물에서 해제되었음 |
형태/특징 | ▪ 수 고 : 약 1∼2m ▪ 자생환경 : 산록부, 양지 ▪ 개 화 기 : 3∼4월경(연한 황록색) ▪ 특 징 : 잎보다 꽃이 먼저 피며, 꽃은 이삭처럼 밑으로 늘어지고 다 피어도 꽃잎이 반쯤만 벌어짐 |
현황사진 | ![]() ![]() ![]() |
경주국립공원
종명 | 원앙 (Aix galericulata) |
---|---|
보호현황 | 천연기념물 제327호, 수출·수입등 허가대상 야생생물, 포획·채취 등의 금지 야생생물 |
개요 | ▪ 오리과의 조류로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는 텃새이자 겨울 철새 ▪ 아름답고 암컷과 수컷의 사이가 좋기로 유명하여 예로부터 부부 금술이 좋은 부부를 원앙에 비유하여 설명하기도 함 ▪ 번식기에는 주로 숲에 서식하고, 비번식기인 겨울철에는 하천, 해안 등에 서식함 ▪ 경주국립공원의 계곡 및 저수지 등에서는 사계절 관찰이 가능함 |
형태/특징 | ▪ 체 장 : 약 45㎝ ▪ 식 성 : 각종 식물의 열매, 작은 동물 ▪ 서식지 : 전국의 하천, 호소, 계곡, 해안 등 ▪ 특 징 : 수컷은 머리 앞에 녹색깃털, 뒷머리에는 늘어진 적갈색 깃털이 있으며 암컷은 전체적으로 어두운 회색 바탕에 배부위에 흰색 얼룩점이 있음 |
현황사진 | ![]() ![]() ![]() |
종명 | 소나무 (Pinus densiflora) |
---|---|
보호현황 | - |
개요 | ▪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상록 침엽교목으로 1,300m 이하 지역에 널리 분포함 ▪ 예로부터 소나무는 우리 민족의 삶, 문화, 역사와 더불어 절개, 인내, 의지를 상징하는 종으로 문화재, 전통사찰 등의 건축재로 활용되었음 ▪ 경주국립공원 내 가장 넓은 면적으로 분포하고 있음 |
형태/특징 | ▪ 수 고 : 최대 약 35m ▪ 자생환경 : 노지, 능선부 등 양지 ▪ 개 화 기 : 3∼4월경(연한 황록색) ▪ 특 징 : 비교적 척박하고 건조한 땅에서도 잘 자라며, 잎은 2개가 속생함 (잣나무 5개, 리기다소나무 3개) |
현황사진 | ![]() ![]() ![]() |
계룡산국립공원
종명 | 호반새 (Halcyon coromanda) |
---|---|
보호현황 | 수출·수입등 허가대상 야생생물, 포획·채취 등의 금지 야생생물 |
개요 | ▪ 국내에 드물게 찾아오는 여름철새로 5월에 도래하여 번식 후 10월에 떠남 ▪ 고목의 나무구멍에 둥지를 틀며 청정한 산간 계곡, 호수 주변의 울창한 숲에서 번식하는 환경 지표종임 ▪ 계룡산에서는 1993년 자연자원조사시 처음 발견되었으며 주요 계곡지역에서 매년 발견되고 있음 |
형태/특징 | ▪ 체 장 : 약 30㎝ ▪ 식 성 : 작은 어류, 개구리, 가재 등 ▪ 서식지 : 산간 계곡, 호숫가, 햇빛이 잘 들지 않는 무성한 숲 속 ▪ 특 징 : 부리와 다리는 선명한 붉은색이며, 머리부터 꼬리까지 몸의 윗면은 적갈색. 체형에 비해 머리가 크고 목과 다리는 짧음 |
현황사진 | ![]() ![]() ![]() |
종명 | 꺵깽이풀 (Jeffersonia dubia) |
---|---|
보호현황 |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
개요 | ▪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산지에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깽깽이(깨금발)로 뛰어간 것처럼 띄엄띄엄 자란다고 붙여진 이름 ▪ 씨에 얼라이오솜이라고 불리는 당분체가 붙어 있어 개미들이 좋아하며, 물어다 나른 자리 또는 당분체만 먹고 버린 자리에서 싹이 트기도 함 ▪ 멸종위기종은 아니나 관상가치가 높아 채취로 인한 훼손위험이 있음 |
형태/특징 | ▪ 높 이 : 약 20㎝ ▪ 자생환경 : 산 중턱의 낙엽활엽수림 아래 습기있는 토양 ▪ 개화기 : 4~5월 ▪ 특 징 : 잎보다 먼저 뿌리에서 난 긴 꽃자루 끝에 붉은 보라색 또는 드물게 흰색꽃이 달림 |
현황사진 | ![]() ![]() ![]() |
한려해상국립공원
종명 | 팔색조 (Pitta nympha) |
---|---|
보호현황 |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 천연기념물 제204호 |
개요 | ▪ 세계적으로 희귀하게 목격되는 여름 철새로 이름은 8가지 색을 가진 것에 기인하여 명명되었음 ▪ 사람이 접근하기 어렵고, 어둡고 습한 계곡이나 원시림 같은 특수 환경에서만 서식함 ▪ 20세기 도로건설, 산림파괴 등으로 그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세계적으로 2,500 ~ 10,000여 마리만 생존하는 것으로 추정됨 |
형태/특징 | ▪ 체 장 : 약 18㎝ ▪ 먹 이 : 각종 식물의 열매, 지렁이 등 ▪ 서식지 : 해안과 섬 또는 내륙의 경사지의 활엽수림 ▪ 특 징 : 전체적으로 8가지 색상을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세력권을 침범하는 수컷에 대해 소리로 방어하는 습성이 있음 |
현황사진 | ![]() ![]() ![]() |
종명 | 거머리말 (Zostera marina) |
---|---|
보호현황 | - |
개요 | ▪ 해초류(seagrasses)라고 부르며 해수중에 생육하는 속씨식물로 꽃이 피고 종자를 맺는 현화식물임 ▪ 어류와 저서성무척추동물의 산란·보육·생육·피난처 역할을 하며, 해수의 흐름이나 파랑의 물리적 충격을 흡수·완화시켜 부유 현탁물을 침전 시키는 등 수질 정화와 저질 안정에 중용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음 |
형태/특징 | ▪ 크 기 : 4m 이하 ▪ 자생환경 : 연안 또는 하구역의 수중 ▪ 개 화 기 : 4∼8월경 ▪ 특 징 : 제주도를 포함한 남해연안에 주로 분포하며, 서해 도서해역 및 동해연안의 만, 항에서 국지적으로 출현하기도 함 |
현황사진 | ![]() ![]() ![]() |
설악산국립공원
종명 | 산양 (Naemorhedus caudatus) |
---|---|
보호현황 | 멸종위기야생생물Ⅰ급, 천연기념물 제217호, 먹는 것이 금지되는 야생동물 |
개요 | ▪ 200만년전에 지구에 나타난 이후 현재까지 모습이 거의 변하지 않아 살아있는 화석이라고 불리는 동물 ▪ 한자는 산에 사는 양(山羊), 라틴어로는 숲에 사는 작은 양이라는 뜻이 있음 ▪ 설악산은 국내 최대 산양 서식지(약 250마리 이상)로 국립공원공단에서는 보호사업의 일환으로 2007년부터 월악산,오대산 등에서 복원사업을 추진 중임 ▪ 설악산 외 월악산도 깃대종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음 |
형태/특징 | ▪ 체 장 : 약 80∼130㎝ ▪ 먹 이 : 참나무류, 사초과 등 다양한 식물 ▪ 서식지 : 천적을 피해 경사가 급하고 바위가 많은 산악지대에서 생활함 ▪ 특 징 : 2개의 날카로운 원통형 뿔과 목 부위에 넓은 흰색 반점이 있으며, 털은 회갈색이고 등 부위에 검은 줄이 꼬리까지 이어져 있음 |
현황사진 | ![]() ![]() ![]() |
종명 | 눈잣나무 (Pinus pumila) |
---|---|
보호현황 |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
개요 | ▪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설악산 대청봉∼소청봉 구간에서만 서식하는 기후변화에 민감한 기후변화 지표생물 ▪ 국립공원공단에서는 눈잣나무 보호를 위해 2007년 대청봉 일원을 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하고, 2012년부터 복원사업이 진행 중임 |
형태/특징 | ▪ 수 고 : 약 4∼5m ▪ 자생환경 : 북방계 고산식물로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설악산 대청봉에만 자생 ▪ 개 화 기 : 6∼7월경 ▪ 특 징 : 고산지대에서 가지가 기어서 자라고 잎은 5개씩 달리며 잎에는 2개의 송진 구멍이 있음 |
현황사진 | ![]() ![]() ![]() |
속리산국립공원
종명 | 하늘다람쥐(Pteromys volans aluco) |
---|---|
보호현황 |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 천연기념물 제328호 |
개요 | ▪ 청설모과 포유류로 도서지역을 제외한 전국의 성숙한 활엽수림대에 분포함 ▪ 날개막을 이용하여 나무 사이를 활공해 이동하며 한번의 활공으로 20∼30m, 때로는 100m 이상도 이동하기에 추적하기가 매우 어려움 ▪ 산림벌채, 댐건설 등의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음 |
형태/특징 | ▪ 체 장 : 약 25∼30㎝ ▪ 먹 이 : 나무껍질, 잎, 종자, 과실 ▪ 서식지 : 성숙한 활엽수림대, 자연림 또는 인공조림지 ▪ 특 징 : 앞발의 발목부위부터 뒷발의 무릎 부위에 걸쳐 있는 날개막을 이용하여 나무와 나무 사이를 활공해 이동함. 다른 설치류에 비해 눈이 매우 크며 귀는 짧고 폭이 넓음. |
현황사진 | ![]() ![]() ![]() |
종명 | 망개나무 (Berchemia berchemiifolia) |
---|---|
보호현황 | 천연기념물 제207호, 제337호,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
개요 | ▪ 1998년 멸종위기야생생물로 지정되었다가 2012년 해제되었음 ▪ 경상북도에서는 살배, 충청북도에서는 산에서 자라는 대나무라는 뜻으로 멧대싸리라고도 불림 ▪ 속리산의 괴산 사담리, 보은군 사내리에 있는 망개나무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지속적으로 속리산 내 큰 군락지가 발견되고 있음 |
형태/특징 | ▪ 수 고 : 약 10∼15m ▪ 자생환경 : 산지의 습기가 많고 비옥한 능선사면 ▪ 개 화 기 : 5∼6월(녹색이 도는 노란색) ▪ 특 징 : 잎은 긴 타원형으로 뒷면은 흰 분을 칠한 듯한 모습 |
현황사진 | ![]() ![]() ![]() |
내장산국립공원
종명 | 비단벌레 (Chrysochroa coreana) |
---|---|
보호현황 |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 천연기념물 제496호 |
개요 | ▪ 2005년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으로 지정된 비단벌레과 곤충 ▪ 금속성 광택의 화려한 색으로 오래전부터 공예 장식품의 소재로 사용되었음 ▪ 곤충으로는 장수하늘소, 반딧불이, 산굴뚝나비에 이어 네 번째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음 |
형태/특징 | ▪ 체 장 : 약 3∼4㎝ ▪ 먹 이 : 애벌래는 팽나무, 느티나무의 물관부를 갉아먹고, 성충은 주변 나무를 두루 이용함 ▪ 서식지 : 울창한 산림지대 ▪ 특 징 : 몸은 초록색이며 금속성 광택이 매우 강하고 2개의 붉은색 줄무늬가 있어 매우 화려함 |
현황사진 | ![]() ![]() ![]() |
종명 | 진노랑상사화 (Lycoris chinensis) |
---|---|
보호현황 |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 |
개요 | ▪ 우리나라에만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전국적으로 내장산을 포함한 10여곳만 분포하고 있으며 국립공원에서는내장산이 유일함 ▪ 국내 최대 자생지인 내장산 자생지는 2011년부터 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음 |
형태/특징 | ▪ 수 고 : 약 40∼70㎝ ▪ 자생환경 : 산지 하부, 계곡 주변 등 습윤하고 자갈이 많은 곳 ▪ 개 화 기 : 7월말∼8월초(짙은 노란색) ▪ 특 징 : 우리나라 상사화 종류 중 가장 먼저 개화하는 종으로, 꽃은 잎이 진 후 발생하여 하늘을 향해 곧추서는 형태임 |
현황사진 | ![]() ![]() ![]() |
가야산국립공원
종명 | 삵 (Prionailurus bengalensis) |
---|---|
보호현황 |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 먹는 것이 금지되는 야생동물 |
개요 | ▪ 우리나라 고양이과 동물 가운데 가장 몸집이 작은 종 ▪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고양이는 유럽이나 아프리카의 들고양이를 조상으로 하는 종으로서, 삵과 형태는 유사하지만 분류학적으로 다르고 완전히 독립된 진화과정을 거친 종임 ▪ 살쾡이라고도 불리며 전국에 비교적 많은 수가 살고 있으나 지역별 편차가 큼 |
형태/특징 | ▪ 체 장 : 약 45∼55㎝ ▪ 먹 이 : 쥐, 꿩, 작은새, 물고기 등 ▪ 생활사 : 깊은 산림에서 바닷가까지 널리 퍼져 살지만 주로 논밭과 강을 끼고 있는 저지대의 풀밭에서 가장 많이 서식함 ▪ 특 징 : 황갈색 바탕에 검은 점무늬가 몸통에 있으며 이마에서 목으로 이어지는 뚜렷한 검은 세로줄 무늬가 있음 |
현황사진 | ![]() ![]() ![]() |
종명 | 가야산은분취 (Saussurea pseudogracilis) |
---|---|
보호현황 |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
개요 | ▪ 국화과 취나물속의 식물로 은분취류 중에서 가야산에서 처음 발견되었다고 하여 ‘가야산’ 이라는 지명이 붙음 ▪ 우리나라에만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어린 순은 나물로 섭취가 가능하기 때문에 불법 남획이나 훼손이 가장 큰 위협요인 |
형태/특징 | ▪ 수 고 : 약 10∼30㎝ ▪ 자생환경 : 깊은 산림지대에 지역적으로 분포 ▪ 개 화 기 : 8월∼9월(홍자색) ▪ 특 징 : 뿌리잎은 끝이 뾰족하고 밑은 심장형의 삼각형 형태로 앞면은 붉은색을 띈 녹색이고 뒷면에는 흰색 털이 있음 |
현황사진 | ![]() ![]() ![]() |
덕유산국립공원
종명 | 금강모치 (Rhynchocypris kumgangensis) |
---|---|
보호현황 |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
개요 | ▪ 우리나라에만 분포하는 고유종으로 하천의 최상류, 산소가 풍부하고 물이 맑은 1급수에 서식하는 어류 ▪ 금강 수계에서는 유일하게 덕유산 무주구천동에만 분포 ▪ 수환경 변화에 매우 민감해, 하천공사 등으로 전국적인 서식지가 감소하고 있음 |
형태/특징 | ▪ 체 장 : 약 7∼8㎝ ▪ 먹 이 : 수서곤충, 작은 갑각류 ▪ 생활사 : 암수가 어울린 집단이 자갈 밑을 파고 들어가 4∼5월경 산란 ▪ 특 징 : 버들치와 비슷하나 옆면에 2줄의 주황색 띠, 등지느러미에 흑색 반점이 있음 |
현황사진 | ![]() ![]() |
종명 | 구상나무 (Abies koreana) |
---|---|
보호현황 |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
개요 | ▪ 아고산 상록침엽교목으로 국내에서는 덕유산이 가장 북쪽에 위치하는 자생지임 ▪ 우리나라 고유종이나 과거에 크리스마스 트리용도로 해외로 반출되어 현재 역수입되고 있는 식물 ▪ 기후변화 지표생물의 하나로 제주도를 중심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고사개체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
형태/특징 | ▪ 수 고 : 약 18m ▪ 자생환경 : 해발고도 약 1,000m 이상의 아고산지대 ▪ 개 화 기 : 5월(암수한그루) ▪ 특 징 : 솔방울은 타원형이며 솔방울 색에 따라 검은구상, 붉은구상, 푸른구상으로 구분하기도 함 |
현황사진 | ![]() ![]() ![]() |
오대산국립공원
종명 | 긴점박이올빼미 (Strix uralensis) |
---|---|
보호현황 |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 |
개요 | ▪ 올빼미과의 조류로 과거 미조 또는 겨울철새로 알려졌으나 2007년 강원도 원주에서 둥지가 발견되어 우리나라에도 번식하는 텃새로 밝혀진 종 ▪ 우리나라에서는 채집 및 발견기록이 드물어 적은 수가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오대산에서는 다수의 개체가 지속적으로 확인되고 있음 ▪ 올빼미와 비슷한 울음소리를 냄 |
형태/특징 | ▪ 체 장 : 약 50㎝ ▪ 먹 이 : 설치류, 작은 조류, 곤충류 ▪ 생활사 :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이나 간혹 낮에도 활동함 ▪ 특 징 : 올빼미와 닮았으나 색이 더 밝고 큼. 전체적으로 회갈색이며 몸 전체에 길다란 검은색 무늬가 있고 가슴에 긴 세로 줄무늬가 있음 |
현황사진 | ![]() ![]() ![]() |
종명 | 노랑무늬붓꽃 (Iris odaesanensis) |
---|---|
보호현황 |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
개요 | ▪ 1964년 오대산에서 최초 발견된 붓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설악산에서 주왕산에 이르기까지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음 ▪ 2005년 멸종위기야생생물로 지정되었으나 2012년 법령 개정시 해제되었음 ▪ 관상가치가 높아 채취로 인한 훼손위험이 있어 오대산에서는 주요 자생지를 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음 |
형태/특징 | ▪ 수 고 : 약 20㎝ ▪ 자생환경 : 높은 산의 능선의 풀밭이나 숲속에 자생 ▪ 개 화 기 : 4∼6월 ▪ 특 징 : 꽃은 흰색바탕에 노란색 줄무늬가 있어 쉽게 구별됨 |
현황사진 | ![]() ![]() ![]() |
주왕산국립공원
종명 | 솔부엉이 (Ninox scutulata) |
---|---|
보호현황 | 천연기념물 제324-3호, 포획·채취 등의 금지 야생생물 |
개요 | ▪ 올빼미과의 야행성 맹금류로 동남아시아의 열대밀림에서 월동하고 우리나라는 번식하러 초여름에 도래하기 시작함 ▪ 올빼미류와 달리 뛰어난 비행기술과 신체적 구조로 날아다니는 곤충을 먹이로 사냥할 수 있는 독특한 행동학적 특징을 지님 ▪ 주왕산의 주산지 일원에서 서식하고 있음 |
형태/특징 | ▪ 체 장 : 약 30㎝ ▪ 먹 이 : 곤충, 소형 조류, 설치류 ▪ 생활사 :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이나 간혹 낮에도 활동함 ▪ 특 징 : 암컷, 수컷 모두 머리부위가 올리브색을 띤 진한 초콜렛 갈색으로 선명한 노란색 눈을 가지고 있으며 꼬리에 가로 줄무늬가 있음 |
현황사진 | ![]() ![]() ![]() |
종명 | 둥근잎꿩의비름 (Hylotelephium ussuriense) |
---|---|
보호현황 | - |
개요 | ▪ 주왕산, 지리산 등 우리나라 중북부 이북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주왕산에서 처음 발견되었음 ▪ 당초 멸종위기야생생물이었으나 2012년 법령 개정시 해제되었으며, 주왕산 내 광범위하게 자생하고 있고 탐방로 주변으로도 쉽게 관찰 가능함 |
형태/특징 | ▪ 수 고 : 약 15∼30㎝ ▪ 자생환경 : 계곡의 그늘진 바위틈 ▪ 개 화 기 : 7∼10월(붉은색) ▪ 특 징 : 잎은 십자가 모양으로 마주나며 다육질, 잎 가장자리는 붉은색을 띠기도 하며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음 |
현황사진 | ![]() ![]() ![]() |
태안해안국립공원
종명 | 표범장지뱀 (Eremias argus) |
---|---|
보호현황 |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 |
개요 | ▪ 장지뱀과 파충류로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분포하며 태안해안의 사구지역은 전국 최대의 표범장지뱀 서식지라고 할 수 있음 ▪ 국립공원 인근 해안지역의 난개발로 인해 서식지가 사라져가고 있는 상황 ▪ 몸 전체에 표범의 무늬와 비슷한 반점이 있어 표범장지뱀으로 불림 |
형태/특징 | ▪ 체 장 : 약 6∼10㎝ ▪ 먹 이 : 거미류, 곤충류 ▪ 생활사 : 해안 사구 및 큰 하천 주변의 초지, 마사토가 풍부한 산림지역에 서식하며 무더운 낮과 추운 밤에는 모래, 돌, 고목 아래에 들어가 쉼 ▪ 특 징 : 내부는 황색, 외부는 암갈색인 작은 반점이 몸 전체에 산재하여 있음 |
현황사진 | ![]() ![]() ![]() |
종명 | 매화마름 (Ranunculus trichophyllus Chaix var. kadzusensis(Makino) Weigleb) |
---|---|
보호현황 |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 |
개요 | ▪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수생식물로 꽃은 물매화를 닮고 잎은 붕어마름을 닮아 매화마름이라 불림 ▪ 서식지는 대부분 논이나 농번기와 성장기가 엇갈려 안정적인 자생이 가능함 ▪ 매화마름 자생에 대한 인식 부족과 무분별한 농약 사용, 경작방법의 변화 등으로 서식지가 매년 감소하고 있음 |
형태/특징 | ▪ 수 고 : 약 50㎝(수중) ▪ 자생환경 : 서해안 인근 논(강화, 시화호, 태안, 변산, 영광군 등) ▪ 개 화 기 : 4∼5월(흰색) ▪ 특 징 : 줄기 속은 비어있고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며, 수분을 머금은 논두렁에서도 자라기도 함 |
현황사진 | ![]() ![]() ![]() |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종명 | 상괭이 (Neophocaena phocaenoides) |
---|---|
보호현황 | - |
개요 | ▪ 쇠돌고랫과에 속하는 여섯 종의 고래 중 하나로 수물돼지 또는 무라치라 부르기도 함 ▪ 다른 쇠돌고래류에 비해 배의 선두를 따라 헤엄치거나 배에 접근하는 등의 행동은 활발하지 않으며 생태습성에 대한 조사된 바가 거의 없음 ▪ 일부 국가에서는 식용 및 전시용으로 포획하는 경우가 있으며 남획으로 인한 개체수 감소가 위협요임 |
형태/특징 | ▪ 체 장 : 약 1.5∼1.9m ▪ 먹 이 : 거미류, 곤충류 ▪ 생활사 : 최대 50마리의 무리가 관찰된 바 있고 양자강에서는 2∼4월, 일본에서는 4∼8월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는 조사된 바 없음 ▪ 특 징 : 등지느러미가 없으며 약 1㎝의 융기가 발생되어 있으며, 온난한 연해 해역의 담수 또는 해수역에 서식함 |
현황사진 | ![]() ![]() ![]() |
종명 | 풍란 (Neofinetia falcata) |
---|---|
보호현황 | 멸종위기야생생물Ⅰ급 |
개요 | ▪ 난초과 상록성 여러해살이풀로 과거 남해안,제주도 일대에 고루 분포하였으나 꽃이 아름답고 향기가 좋아 무분별한 채취로 인해 개체수가 급감한 종 ▪ 풍란의 향기는 깊고 멀리 퍼져 바다에서 방향을 잃으면 풍란의 향기를 따라 섬으로 돌아온다는 이야기도 있음 ▪ 다도해해상, 한려해상국립공원 내 국지적으로 소수의 개체만 자생하고 있으며 공단에서는 풍란 보전을 위해 지속적인 증식과 복원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
형태/특징 | ▪ 수 고 : 약 15∼30㎝ ▪ 자생환경 : 겨울에도 따뜻하고 통풍, 습도가 높은 남해안 바닷가 지역 ▪ 개 화 기 : 7∼8월(흰색) ▪ 특 징 : 노끈 모양의 굵은 뿌리가 바위나 나무에 붙어(고정) 자라며, 잎은 앞면에 깊은 홈이 한 개 있고 V자 형으로 구부러짐 |
현황사진 | ![]() ![]() ![]() |
치악산국립공원
종명 | 물두꺼비 (Bufo stejnegeri) |
---|---|
보호현황 | 포획·채취 등의 금지 야생생물 |
개요 | ▪ 두꺼비과 양서류로 우리나라 고유종이며 외부형태는 두꺼비와 비슷하나 고막이 없는 것이 특징임 ▪ 백두대간을 따라 넓게 분포하였지만 현재는 서식지 파괴와 오염 등으로 개체수가 감소 추세에 있음 |
형태/특징 | ▪ 체 장 : 약 4∼6.5㎝ ▪ 먹 이 : 작은 곤충, 지렁이류 ▪ 생활사 : 산란기에는 계곡에 서식하다가 산란 후에는 산림지대로 이동해 서식 ▪ 특 징 : 암컷은 적갈색, 수컷은 회갈색이며, 등에 피부가 융기된 돌기가 있음 |
현황사진 | ![]() ![]() ![]() |
종명 | 금강초롱꽃 (Hanabusaya asiatica) |
---|---|
보호현황 |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
개요 | ▪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금강산에서 처음 발견되어 금강초롱꽃이라는 학명이 붙었음 ▪ 대표적인 고산식물로 특이하고 아름다운 꽃 모양으로 인해 무분별한 채취가 이루어져 보호가 필요한 식물종 |
형태/특징 | ▪ 수 고 : 약 30∼90㎝ ▪ 자생환경 : 고산의 산지 계곡사면이나 습도가 높은 비옥한 지역 ▪ 개 화 기 : 8∼9월(연한 자주색) ▪ 특 징 : 잎에는 톱니가 있고 꽃은 종 모양으로 밑을 향해 달림 |
현황사진 | ![]() ![]() ![]() |
월악산국립공원
종명 | 산양 (Naemorhedus caudatus) |
---|---|
보호현황 | 멸종위기야생생물Ⅰ급, 천연기념물 제217호, 먹는 것이 금지되는 야생동물 |
개요 | ▪ 200만년전에 지구에 나타난 이후 현재까지 모습이 거의 변하지 않아 살아있는 화석이라고 불리는 동물 ▪ 한자는 산에 사는 양(山羊), 라틴어로는 숲에 사는 작은 양이라는 뜻이 있음 ▪ 설악산은 국내 최대 산양 서식지(약 250마리 이상)로 국립공원공단에서는 보호사업의 일환으로 2007년부터 월악산, 오대산 등에서 복원사업을 추진 중임 ▪ 월악산 외 설악산도 깃대종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음 |
형태/특징 | ▪ 체 장 : 약 80∼130㎝ ▪ 먹 이 : 참나무류, 사초과 등 다양한 식물 ▪ 서식지 : 천적을 피해 경사가 급하고 바위가 많은 산악지대에서 생활함 ▪ 특 징 : 2개의 날카로운 원통형 뿔과 목 부위에 넓은 흰색 반점이 있으며, 털은 회갈색이고 등 부위에 검은 줄이 꼬리까지 이어져 있음 |
현황사진 | ![]() ![]() ![]() |
종명 | 솔나리 (Lilium cernuum Kom.) |
---|---|
보호현황 |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
개요 | ▪ 백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잎이 솔잎처럼 가늘어 솔나리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환경부 멸종위기야생생물이었으나 2012년 해제된 식물종 ▪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종이나 관상용으로 남회되어 개체수가 줄고 있는 종으로 월악산은 800m 이상의 고산 지대에 소군락으로 분포하고 있음 |
형태/특징 | ▪ 수 고 : 약 30∼90㎝ ▪ 자생환경 : 고산의 산지 계곡사면이나 습도가 높은 비옥한 지역 ▪ 개 화 기 : 8∼9월(연한 자주색) ▪ 특 징 : 잎에는 톱니가 있고 꽃은 종 모양으로 밑을 향해 달림 |
현황사진 | ![]() ![]() ![]() |
북한산국립공원
종명 | 오색딱다구리 (Dendrocopos major) |
---|---|
보호현황 | 포획·채취 등의 금지 야생생물, 수출·수입등 허가대상 야생생물 |
개요 | ▪ 북한산 전역에 고루 서식하는 텃새로 긴 혀를 이용하여 나무 줄기속에 살고 있는 애벌레를 잡어 먹어 ‘숲속의 의사’라는 별명이 있는 동물 ▪ 참나무에 둥지짓기를 좋아하고 잘 발달된 숲에 많이 출현하여 산림의 발달정도를 판단기 좋은 지표종임 |
형태/특징 | ▪ 체 장 : 약 80∼130㎝ ▪ 먹 이 : 여름에는 곤충, 겨울에는 열매 ▪ 서식지 : 죽거나 묵은 나무에 특별한 재료없이 암수가 함께 구멍을 파 둥지를 만들어 서식함 ▪ 특 징 : 어깨깃에 뚜렷한 V자형의 흰색 무늬가 있고 ‘키욧키욧’ 하며 높은 음의 울음소리를 냄. 머리 뒷부분이 수컷은 붉은색, 암컷은 검은색임 |
현황사진 | ![]() ![]() ![]() |
종명 | 산개나리 (Forsythia saxatilis Nakai) |
---|---|
보호현황 |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
개요 | ▪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관목으로 우리나라 고유 식물종 ▪ 최초 북한산에서 발견된 이 후 관악산 등 일부 지역에만 분포가 확인되고 있으며 북한산도 일부 지역에서만 소군락으로 분포하고 있음 |
형태/특징 | ▪ 수 고 : 약 1m ▪ 자생환경 : 바위 틈이나 숲속 및 가장자리 ▪ 개 화 기 : 4∼5월(연한 노란색) ▪ 특 징 : 개나리 보다 꽃잎의 형태가 길고 색이 연한 것으로 구분 가능함 |
현황사진 | ![]() ![]() ![]() |
소백산국립공원
종명 | 여우 (Vulpes vulpes peculiosa) |
---|---|
보호현황 | 멸종위기야생생물Ⅰ급 |
개요 | ▪ 개과의 포유류로 과거 우리나라 전국의 산림, 인가 인근의 숲 등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었으나 남획과 쥐잡기 운동에 의한 약재 피해로 개체수가 급감한 종 ▪ 2004년 강원도 양구에서 사체가 발견된 것을 마지막으로 야생개체는 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공단은 2012년부터 소백산에서 여우 복원사업을 추진 중임 |
형태/특징 | ▪ 체 장 : 약 60∼90㎝ ▪ 먹 이 : 들쥐, 새, 개구리, 곤충, 과실 등(잡식성) ▪ 서식지 : 숲속 및 마을 부근 등의 바위틈이나 흙으로 된 굴에서 생활 ▪ 특 징 : 털색은 대체로 적갈색이나 가슴과 등은 희며, 다리끝은 검은색이고 꼬리는 부슬부슬함. 입이 뾰족하고 삼각형의 귀는 끝부분이 검은색임 |
현황사진 | ![]() ![]() |
종명 | 모데미풀 (Megaleranthis saniculfolia) |
---|---|
보호현황 |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
개요 | ▪ 미나리아제비과에 속하는 우리나라 고유종으로 지리산 모데미골에서 처음 발견되어 모데미풀이라 부르며 운봉금매화, 금매화아제비 라고도 부름 ▪ 우리나라에만 서식하는 종으로 보호해야 할 가치가 높으며, 소백산이 모데미풀의 최대 군락지임 |
형태/특징 | ▪ 수 고 : 약 20∼40㎝ ▪ 자생환경 : 깊은 산 숲속의 습도가 높은 곳 ▪ 개 화 기 : 4∼5월(흰색) ▪ 특 징 : 뿌리에서 여러 개의 꽃줄기와 잎이 모여나며 줄기에서는 잎이 나지 않고 잎의 가장자리는 끝이 뾰족한 톱니가 있음 |
현황사진 | ![]() ![]() ![]() |
월출산국립공원
종명 | 남생이 (Mauremys reevesii) |
---|---|
보호현황 |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 천연기념물 제453호 |
개요 | ▪ 늪거북과의 파충류로 자라와 함께 우리나라 토종 민물 거북 ▪ 불로장생을 상징하는 십장생(十長生) 중 하나이자, 동서남북을 지키는 사신 중 북쪽을 지키는 현무(玄武)로서우리 민족이 숭배하고 사랑하는 동물 ▪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서식하였으나 서식지 파괴와 남획 등으로 개체수가 급감하였으며, 2013년 월출산에서 서식지가 발견되어 복원작업을 추진 중임 |
형태/특징 | ▪ 체 장 : 약 20∼30㎝ ▪ 먹 이 : 다슬기, 우렁이, 어류, 곤충, 식물 등(잡식성) ▪ 서식지 : 물과 육지에서 모두 생활하며 5∼8월 육지에 구멍을 파고 알을 낳음 ▪ 특 징 : 얼굴 옆면에 노란색의 선명한 무늬가 있으며 등껍질이 딱딱하고 등갑에 육각형의 무늬가 있음 |
현황사진 | ![]() ![]() ![]() |
종명 | 끈끈이주걱 (Drosera rotundifolia) |
---|---|
보호현황 |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
개요 | ▪ 끈끈이귀개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습지에 서식하고 곤충을 잡아먹는 대표적인 식충식물 ▪ 과거 전국 습지에 많은 개체수가 서식하였으나 현재는 습지의 육지화, 훼손 등으로 개체수가 많이 줄어든 종 |
형태/특징 | ▪ 수 고 : 약 6∼30㎝ ▪ 자생환경 : 산지습지 ▪ 개 화 기 : 7월(흰색) ▪ 특 징 : 주걱 모양의 잎 표면에 있는 빽빽한 연분홍색 털로 벌레를 잡고 잎이 오므라지면서 소화액을 분비하여 먹이를 소화시킴 |
현황사진 | ![]() ![]() ![]() |
변산반도국립공원
종명 | 부안종개 (Iksookimia pumila) |
---|---|
보호현황 |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
개요 | ▪ 미꾸리과의 우리나라 고유의 소형 어류로 변산반도국립공원 내 백천의 2급수 이상 맑은 물에서만 제한적으로 서식 ▪ 1990년 부안댐이 백천에 준공되고 상류에 소형 저수지가 생기면서 서식지가 급격히 감소되어 1996∼1998년까지 멸종위기야생생물로 지정되었다가 2012년 멸종위기야생생물로 재지정 되었음 |
형태/특징 | ▪ 체 장 : 약 6∼8㎝ ▪ 먹 이 : 수서곤충, 미생물 ▪ 서식지 : 수심 20∼50㎝의 물이 맑고 모래와 자갈이 깔린 유속이 완만한 곳 ▪ 특 징 : 입은 주둥이 밑부분에 있고 3쌍의 수염이 있으며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에 2∼3줄의 가로무늬가 있음 |
현황사진 | ![]() ![]() ![]() |
종명 | 변산바람꽃 (Eranthis byunsanensis B. Y. Sun) |
---|---|
보호현황 |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
개요 | ▪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1993년 변산반도에서 처음 발견하였으며 이 후 설악산, 내장산 등에서도 추가로 발견되었음 ▪ 변산반도의 봄을 알리는 꽃이 아름다운 야생화로 알려져 있어 탐방객 및 사진작가들이 찾고 있지만 무분별한 채취와 훼손으로 개체수가 감소되고 있음 |
형태/특징 | ▪ 수 고 : 약 10∼30㎝ ▪ 자생환경 : 햇볕이 잘 드는 습윤한 지역, 물이 얕은 계곡 전석지 ▪ 개 화 기 : 2∼3월(흰색) ▪ 특 징 : 꽃은 줄기 끝에서 1개가 피며, 하얀색의 꽃잎처럼 보이는 꽃받침이 5∼6개, 꿀샘이 명확하지 않은 꽃잎은 항아리 모양이며 끝부분이 2개로 갈림 |
현황사진 | ![]() ![]() ![]() |
무등산국립공원
종명 | 수달 (Lutra lutra) |
---|---|
보호현황 | 멸종위기야생생물Ⅰ급, 천연기념물 제330호, 먹는 것이 금지되는 야생동물 |
개요 | ▪ 족제비과의 포유류로 전국 하천에 흔하게 분포하였으나 수질오염과 모피 생산을 위한 남획으로 개체수가 줄어들어 1998년부터 멸종위기야생생물로 지정됨 ▪ 국내 하천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이자 건강성을 보여주는 지표생물로서 무등산 일원 계곡, 수원지 등에 서식하고 있음 |
형태/특징 | ▪ 체 장 : 약 65∼110㎝ ▪ 먹 이 : 어류, 패류, 양서류, 파충류 등 ▪ 서식지 : 하천이나 호수가 등 물가의 바위구멍 또는 나무뿌리 밑이나 땅에 구멍을 파고 살며, 야행성으로 시각, 청각, 후각이 발달함 ▪ 특 징 : 털은 암갈색이며 몸 아래부분은 옅은 갈색, 턱 아랫부분은 흰색이며 송곳니가 발달되어 있음 |
현황사진 | ![]() ![]() ![]() |
종명 | 털조장나무 (Lindera sericea Blume) |
---|---|
보호현황 |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
개요 | ▪ 녹나무과의 우리나라와 일본에만 자라는 관목성 식물로 관상가치 및 학술적 가치가 높으며 국립공원에서는 무등산에서만 확인되고 있는 종 ▪ 2013년 무등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이 후 진행된 무등산 자연자원 조사에서 자생함이 확인되었으며 생강나무와 꽃이 피는 시기와 모양이 비슷해 혼동할 수 있음 |
형태/특징 | ▪ 수 고 : 약 3m ▪ 자생환경 : 수분이 많은 비옥한 산지 계곡 ▪ 개 화 기 : 3∼5월(노란색) ▪ 특 징 : 꽃이 잎보다 먼저 피고 잎 양면에 털이 있으며 뒷면은 회백색임 |
현황사진 | ![]() ![]() ![]() |
태백산국립공원
종명 | 주목 (Taxus cuspidata Siebold & Zucc.) |
---|---|
보호현황 | 국가기후변화지표종 |
개요 |
▪ 주목과 식물로 국가기후변화 지표종이며, 태백산 고산지를 대표하는 식물임 ▪ 줄기가 붉어 ‘주목’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우며 ‘살아서 천년, 죽어서 천년’이라는 이름이 불리울 정도로 강건한 나무임 ▪ 아고산대 하층 생태계 유지와 기후변화 및 서식지 훼손에 따른 보호․복원이 필요한 나무임 |
형태/특징 | ▪ 수 고 : 약20m ▪ 자생환경 : 해발 700m 이상의 높은 산지 능선 및 사면 ▪ 개화기 : 4월(암수딴그루) ▪ 특 징 : 열매가 빨간색으로 익고 겉에 부드러운 부속물이 둘러싸여 위쪽이 열려 있는 컵모양으로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 태백산 등 우리나라에는 고산지대에 분포하고 있음 |
현황사진 | ![]() ![]() ![]() |
종명 | 열목어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
---|---|
보호현황 |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 |
개요 |
▪ 연어과 냉수성 어종으로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으로 보호 받고 있음 ▪ 주로 1급수에 수온이 낮은 하천 상류지역에서만 서식함 ▪ 우리나라에는 태백산 지역(경북 봉화)의 백천계곡이 세계 최남단 열목어 서식지로 천연기념물 제74호로 지정되어 있음 ▪ 지구 온난화에 따른 멸종위협이 예상되어 서식지 보호가 필요함 |
형태/특징 |
▪ 체 장 : 약 30~70cm ▪ 먹 이 : 작은 물고기, 수서곤충, 작은 동물 등 ▪ 생활사 : 산란은 수온이 7~10℃에 이르는 4~5월 초에 이루어지며 물이 흐르는 여울의 가장자리나 하상이 모래와 자갈로 이루어진 수심 30cm에 약 15cm 깊이로 바닥을 판 후 산란함 ▪ 특 징 : 몸의 바탕은 황갈색으로 등쪽에 암청색, 배쪽은 은백색을 띤다. 어린 개체에는 옆면에 9~10개의 진한 가로무늬가 있다. |
현황사진 | ![]() ![]() |
한라산국립공원
품 명 | 산굴뚝나비 (네발나비과) |
---|---|
주 요 특 징 | ▪ 멸종위기야생생물 1급 |
현황사진 | ![]() |
품 명 | 구상나무 (소나무과) |
---|---|
주 요 특 징 |
▪ 한반도 고유종 ·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 멸종위기종 ▪ 구상나무는 성게를 뜻하는 제주어‘쿠살’ 에서 비롯됨 ▪ 구상나무는 세계자연유산등재 시 한라산에 순림을 이룬다는 사실을 인정받음 ▪ 아고산대 생태계 유지를 위해 보전이 필요함 ▪ 기후변화 및 서식지 훼손에 따른 보호 및 복원이 필요한 나무 ▪ 제주전통 배인 테우를 만드는데 이용되었고, 서양에서는 크리스마스트리로 인기가 많음 |
현황사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