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산반도] 변산반도국립공원 멸종위기야생동물 5종 신규 발견 | ||||
---|---|---|---|---|
공원명 | 변산반도 | 등록일 | 2019.01.31 14:28:48 | |
작성자 | 변산반도국립공원사무소 | 조회수 | 98 | |
첨부파일 | ||||
□ 국립공원공단 변산반도국립공원사무소(소장 김효진)는 “2018년 실시한 변산반도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과정에서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Ⅰ급인 붉은박쥐를 포함해 멸종위기야생생물 5종을 신규 발견했다.”고 밝혔다. ○ 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는 자연공원법 제36조 및 동법시행령 제27조에 근거하여 공원관리청이 5년마다 한 번씩 국립공원의 생태계 현황 및 야생생물의 분포·서식현황, 토양·지형지질·경관자원 현황을 정밀하게 조사하는 것이다. ○ 이번에 발견한 생물종은 멸종위기야생생물Ⅰ급 붉은박쥐 1종과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인 담비, 꼬마잠자리, 대모잠자리, 붉은발말똥게 4종이다. □ 특히, 붉은박쥐는 활동시기(늦봄~가을)에는 산림에 서식하며, 동면시기(늦가을~초봄)에는 주로 습도가 높은 폐광에서 겨울잠을 자는 포유동물이다. 선명한 오렌지색을 띠는 털과 귀, 날개막 때문에 일명 황금박쥐로도 불린다. 환경 변화에 민감한 종으로 최근 개체수가 급감하여 멸종위기 야생생물Ⅰ급과 천연기념물 제452호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 일반적으로 박쥐류는 야간에 사냥활동을 하며 사냥터 주변에 휴식지를 두고 수시로 이용한다. 이번 조사에서는 활동시기 붉은박쥐의 야간 휴식지를 발견하였으며, 휴식지 내 붉은박쥐 3개체를 확인하였다. ○ 현재까지 변산반도국립공원에서 붉은박쥐의 출현과 서식지에 대한 정보는 알려진 바가 없었으나, 이번 조사로 처음 발견하게 되었다. □ 변산반도국립공원사무소 최관수 자원보전과장은 “이번 자연자원조사에서 멸종위기야생생물 5종의 신규 발견은 변산반도국립 공원의 자연생태계가 잘 보전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며, 앞으로도 국가보호종 등 생물종 발굴과 서식지 보전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국가 생물다양성 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구분 | 공원명 | 제목 | 작성자 | 조회수 | 등록일 |
---|---|---|---|---|---|
3081 | 본사 | 국립공원 일부 탐방로, 산불예방 위해 2월 15일부터 통제 | 홍보실 | 39 | 2019.02.13 |
3080 | 국립공원연구원 |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갯게 동면 모습 최초로 확인 | 홍보실 | 70 | 2019.02.11 |
3079 | 변산반도 | [변산반도] 국립공원공단 탐방관리이사 변산반도국립공원 재난… | 변산반도사무소 | 106 | 2019.01.31 |
3078 | 변산반도 | [변산반도] 변산반도국립공원 멸종위기야생동물 5종 신규 발견 | 변산반도사무소 | 98 | 2019.01.31 |
3077 | 변산반도 | [변산반도] 변산반도국립공원 흰발농게 서식지 특별보호구역 … | 변산반도사무소 | 92 | 2019.01.31 |
3076 | 본사 | (해명) 국립공원지킴이는 공정하게 채용되어 자발적으로 주방… | 홍보실 | 114 | 2019.01.28 |
3075 | 본사 | 국립공원관리공단 명칭 '국립공원공단'으로 바뀐다 | 홍보실 | 199 | 2019.01.16 |
3074 | 본사 | 멸종위기종 보호 위해 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 9곳 지정 | 홍보실 | 221 | 2019.01.07 |
3073 | 본사 | 국립공원, 해맞이·해넘이 명소 6곳 선정 | 홍보실 | 278 | 2019.01.02 |
3072 | 본사 | 겨울 산행 사고 대부분은 골절·상처…방한복 준비 필수 | 홍보실 | 429 | 2018.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