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서비스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멸종위기 야생동식물의 보고, 국립공원 - 멸종위기종에 대한 조사연구 및 복원과 다양한 탐방프로그램, 홍보활동을 통한 국민공감대 형성


Home  야생생물보전원  보전원소식  ECO 뉴스

ECO 뉴스

  • 새창열림 - 페이스북에 공유
  • 새창열림 - 트위터에 공유
  • 인쇄하기
공원명, 등록일, 작성자, 조회수, 첨부파일 내용을 제공하는 view 테이블입니다.
멸종위기 1급 반달가슴곰, 인공수정 출산 세계 첫 성공
등록일 2018.08.15 조회수 832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전남 구례군 종복원기술원 증식장에 있는 반달가슴곰 어미 2마리(RF-04, CF-38)가 올해 2월에 각각 출산한 새끼 2마리의 유전자를 최근 분석한 결과, 인공수정으로 태어난 개체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10일 밝혔다. RF-04와 CF-38는 각각 러시아(Russia)와 중국(China)에서 온 암컷(Female) 개체를 뜻한다.
 
인공수정으로 태어난 새끼 반달가슴곰이 어미와 함께 뛰놀고 있다. 새끼 곰은 가을에 방사될 예정이다. [사진 국립공원관리공단]


지리산에서 반달곰 복원 사업을 펼치고 있는 국립공원관리공단은 개체군의 유전적 다양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5년부터 인공수정을 본격적으로 연구해 왔다. 복원대상지인 지리산에서는 자연 번식을 통해 개체 수가 늘었지만, 세력이 우세한 몇몇 수컷 개체들만이 번식에 참여해 같은 부모의 새끼들만이 계속해서 태어나는 등 유전적 다양성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국립공원관리공단 연구진은 지난해 7월 증식장에 있는 암컷 네 마리(RF-04, CF-38, CF-37, RF-109)를 대상으로 인공수정을 시행했으며, 그 결과 올해 2월 어미 곰 2마리가 각각 새끼 1마리씩을 출산했다. 반달가슴곰에 최적화된 인공증식 기술을 개발한 지 3년 만에 이뤄낸 성과다. 다만 CF-38이 출산한 새끼 1마리는 지난달 초 어미가 키우는 과정에서 알 수 없는 원인으로 폐사했다.
 
인공수정을 통해 반달가슴곰의 새끼가 태어나는 과정에서 시행착오도 많았다. 반달가슴곰을 대상으로 인공수정을 시도한 사례가 없었을 뿐 아니라, 1년에 한 번 찾아오는 암컷의 발정 시기를 맞추기도 쉽지 않았다. 정동혁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야생동물의료센터장은 “반달가슴곰은 수정 이후에 수정란이 바로 자궁에 착상하는 것이 아니라 생리적, 환경적 조건이 충족됐을 때 자궁에 착상하는 ‘지연 착상’이라는 독특한 번식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어서, 다른 종들에 비해 인공수정이 더욱 어렵다”고 설명했다.
 
반달가슴곰 인공수정 과정에서 의료진이 초음파 검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 센터장은 “한 번은 인공수정에 성공하고도 착상을 하지 못하면서 암컷의 먹이도 바꿔보고, 체중을 줄여보고자 다이어트를 시키는 등 별별 시도를 다 해봤다”고 덧붙였다.

또, 곰은 겨울잠을 자면서 새끼를 낳기 때문에 출산과 양육을 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영양을 섭취하지 못했을 경우, 사산 또는 유산이 발생한 가능성도 크다. 실제로 세계적인 희귀종인 판다의 경우 중국 등 전 세계 과학자들이 수십 년 동안 인공수정을 시도하고 있으나 성공률이 25% 미만에 불과하다. 지난 2006년에 최초로 판다 인공수정에 성공했다. 미국 신시내티동물원과 스미스소니언 연구소에서도 각각 북극곰과 말레이곰을 대상으로 2008년부터 인공수정을 시도하고 있으나 새끼를 출산한 사례는 아직 없다.
 
이번에 인공수정으로 출생한 새끼 1마리는 8~9월에 증식장 인근의 자연적응훈련장으로 옮겨져 야생 적응 훈련을 받은 뒤 올해 가을에 방사될 예정이다. 송동주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장은 “이번 인공수정 성공을 계기로 반달가슴곰 복원 개체군의 유전적 다양성을 더욱 넓히겠다”고 말했다. 


이전글과 다음글을 제공하는 테이블입니다.
이전글 이전글 보기 화살표이전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다음글 보기 화살표다음글이 없습니다.

목록보기 버튼

평가하기
  • 열람하신 정보에 만족하십니까?